반응형 분류 전체보기5 방선균(Actinomyces)이란 무엇인가? 방선균(Actinomyces)은 토양과 식물 등에서 주로 발견되며 세포의 모양이 실 모양으로 연결된 형태이며 균사의 끝은 포자가 달려있어 형태학적으로는 곰팡이와 유사하지만 세균류에 속한다. 또 포자의 모양이 사슬처럼 연결된 모양으로 관찰되기도 한다. 포자는 운동성이 없으며 구형 난형 등 형태가 다양하고 표면은 매끄럽거나 울퉁불퉁한 형태로 존재하기도 한다. 성숙한 콜로니의 색으로 방선균의 특징을 구별하기도 하였다. 방선균은 호기성이고 25℃~ 35℃, 6.5~7.5 pH에서 잘 생육하며, 병원성이 있는 것과 없는 것으로 나눌 수 있다. 대부분 방선균은 토양에서 생육조건이 양호할 때는 균사로 생장하지만, 인공 배양 시 균사보다는 주로 포자로 존재한다. 토양에 존재하는 대부분의 방선균은 스트렙토미세스 속이며,.. 2022. 12. 28. 곰팡이(Fungi)란 무엇인가? 곰팡이( fungi )는 가느다란 실 모양의 균사로 이루어진 균계를 폭넓게 칭하는 말이다. 곰팡이는 두꺼운 세포벽을 가지고 있으며, 식물과 비슷하나 잎과 줄기, 뿌리가 없으며 광합성을 할 수 없기 때문에 스스로 양분을 만들어 살아갈 수 없는 생물이며, 그렇다고 세균도 아니다. 대부분의 곰팡이류는 현미경으로 관찰하면 세포가 기다란 모양을 하며 세로로 연결되어있는 실과 같은 모양을 하고 있다. 이것을 균사라고 부르며, 균사에 달린 동그란 모양의 열매처럼 붙어 있는 것을 포자라고 부른다. 곰팡이가 자라면서 형성하는 균사의 집단을 균체라고 한다. 균체를 형성해야 우리가 맨눈으로 볼 수 있는 정도의 곰팡이가 된다. 원핵생물에 속하며 곰팡이는 엄청 많은 수의 포자를 이용하여 번식하고 다른 유기물을 분해하여 영양을 .. 2022. 12. 28. 바이러스 (virus)란? 바이러스(virus)는 다른 유기의 살아있는 세포 안에서만 생존할 수 있으며, 생물과 무생물의 중간적 존재이다. 동물, 식물, 세균 등 살아있는 세포에 기생하고, 세포 안에서만 증식이 가능한 존재이다. 바이러스는 핵산과 단백질로 둘러싸여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병원체가 되기도 한다. 바이러스의 구조는 바이론이라고 부르며, 숙주 밖에서 바이러스가 생존하는 형태이다. 바이론 하나의 크기는 10nm-400nm로 고배율 전자 현미경으로 관측이 가능하다. 바이러스는 핵산을 둘러싼 단백질 껍질의 구조로 구성하고 있다. 바이러스는 일반적인 영양배지에서는 배양하여 독립적으로 생존할 수 없지만, 살아있는 세포에서 선택적으로 기생, 증식이 가능하다. 이러한 특징으로 생물학자들은 바이러스가 생물인지 무생물인지에 대.. 2022. 12. 27. 세균(bacteria)이란 세균은 박테리아라고도 부르며, 미생물에 속한다. 세균은 세포 내에 핵이나 막으로 둘러싸인 기관이 결여되어 있고, 펩티도글리칸으로 구성된 세포벽을 가지고 있으며, 대부분 유전체는 원형의 단일염색체로 구성된다. 세균은 지구상에 출현한 후 오랜 시간 동안 환경변화에 적응하면서 계속해서 진화하고 있다. 세균의 몸은 단세포로 구성되어있고, 종류로는 둥근 모양은 구균, 긴 막대 모양의 간균, 나선형의 나선균 등이 있다. 세포 크기가 작고, 세포구조도 단순하며, 성장이 빠르고 다양한 환경에서도 잘 적응한다. 세균은 그람양성균과 그람음성균으로 나뉜다. 이 두 가지 세균의 분류 방법으로는 세포막의 형태를 구분하는 방법을 이용한다. 여기서 그람이란 덴마크 세균학자 C. Gram에서 유래된 말로 자신의 이름을 따서 그람이라.. 2022. 12. 27. 이전 1 2 다음 반응형